☆ 쌀한가마당 600원 누가 훔쳐갔나 ☆
- 작성일
- 2002.12.11 13:34
- 등록자
- (OO
- 조회수
- 1868
고품질쌀 생산으로 농가소득 대폭 향상
1. 적기 수확
- 벼알곡의 수분함량 25% 이하일때
- 수확기가 빠르면 수분할량이 높아 수확시 손실량이 많을 뿐아니라
미숙미(청미)가 많이 발생한다.
- 반대로 수확이 늦으면 쌀의 광택이 떨어지고, 깨진쌀(동할미)이
많이 발생, 손실이 증가한다.
2. 적정 건조
- 화력건조시 : 종자용 40도 이하, 유통판매용 45-50도 이하로 건조
- 급격한 건조 및 과건시 : 동할미 발생 및 식미저하와 도정수율
저하 현상 발생으로 소득 감소
<순환식 열풍건조기에 의한 온도별 동하립 발생비율>
구분 열풍온도(℃) 40 45 50 55 60 65 70
건조시간(단위:시간) 10.0 6.0 5.0 4.5 4.0 3.3 3.0
동할립율(단위%) 3.0 6.0 8.0 13.0 19.0 28.0 38.0
발아율(단위:%) 98.0 97.0 86.0 82.0 75.0 60.0 30.0
곡물건조기를 사용 단 시간내에 고열(섭씨 55℃이상)로 수분
함유량 15% 이내로 건조시 쌀 자체에 균열이 생기며 영양소가 파괴되고,
특히 4월 이후 고온 다습한 기후가 되면 벼는 수발아 현상(자체 싹발아)이
되어 자체영양분을 흡수하고, 장기간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변질냄새
(일명:군등내)를 동반 밥을 하였을시 쌀고유의 섬유질 탄력성 및 응집력
(쫄깃함)이 떨어져 밥맛이 없어진다.
3. 과건 및 건조 미숙으로 인한 소득감소 ( 예시자료임/농가당 평균임)
가. 수분함유량 기준 : 15%임(15.5%까지도 용인됨)
- 농가 평균 건조벼 수분 : 13.5% ~ 14%
(심할 경우에는 13%미만인 경우도 있다)
조곡 1가마(40kg) 1등급 기준시 (수매가격:60,440원) →1가마당 600원~900원 손실
농가호당 평균 경지면적 1.43ha 기준시 →평균 215가마 * (600~900원) = 129,000 ~ 193,000원 손실
나. 제현율 저하로 인한 손실
1등급이 2등급으로 저하시 : 1가마당 2,680원 손실(1등:60,440원 2등:57,760원)평균 215가마 * 2,680원 = 576,200원 손실
다. 과건시 발생되는 추가 건조비용 손실 = α
농가당 평균 소득감소분 합계 : 가 + 나 + 다 = (705,200원 ~ 769,700원) + α손실
* 조곡 1가마(40kg)당 = (3,280원 ~ 3,580원) + α손실
* 장흥군 전체 손실분
2002년 생산량 45,091톤(조곡으로 환산시 1,127,275 가마임) 기준
1,127,275 x (3,280 ~ 3,580) + α= (36억9천7백만 ~ 40억3천5백만) + α
라. 품질저하로 인하 쌀값 하락 및 소비 감소로 인한 추가 손실
전남쌀 판매가와 타지역쌀 판매가를 비교해보면
(목포)즉석가공생생미 20kg 43,000원
(순천)순천만미인쌀 20kg 43,000원
(순천)풍성원쌀 20kg 55,000원
(나주)코끼리표 청결미 20kg 40,000원
(용인)미사랑한방목초액재배10kg*2 96,000원
(파주)미사랑일반재배아끼바레 10kg*2 66,000원
(상주)미사랑일품벼 10kg*2 66,000원
(철원)미사랑환경농업오대벼 10kg*2 76,000원
마. 기타 손실
- 하곡(보리) 수매시에도 관건 또는 건조 미숙으로 인하여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.
- 하곡 수분 기준 : 쌀보리 14% / 맥주보리 13% 이내임.